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04

현대카드 레드 the Red Edition5 더레드 에디션5 프레스티지 카드

현대카드 레드는 꾸준히 인기를 끈 프레스티지 등급의 카드입니다. 현대카드의 럭셔리 시리즈는 크게 퍼플, 레드가 대표적인데요. 퍼플은 이제 프레스티지를 넘어 프리미엄으로 갔고 (사실 출시초기부터 그랬습니다.), 레드가 상대적으로 연회비도 저렴? 하고 바우처 커버 범위도 좁힐수 있다보니 꾸준히 인기를 끌게 되었죠. 에디션5까지 나온 상태이니 계속 갱신(이라고 쓰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조금씩 개악...^^) 되면서 지금도 꾸준하게 발급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현대카드 프레스티지 등급의 중추역할을 탄탄히 하고 있는 레드카드 에디션5를 알아볼게요. 연회비 연회비는 30만원입니다. 레드카드가 초기에 출시되었을때는 20만원 내외 등급의 카드였는데 조금씩 올라 이제는 30만원입니다. 혜택 및 커버사항 1) 일단 20만원..

NH농협카드 올바른 NEW HAVE카드 적립 특별적립 공항라운지

농협하면 채움이라는 브랜드로 알뜰한 소비자를 타케팅하고 있습니다. 영화나 피자, 엑스골프, GS PoP멤버십 등 일상에서의 소소한 할인을 내세운 브랜딩인데요. 사실 채움서비스보다는 농협카드는 할인과 적립을 보고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카드 아닐까 싶어요. 특히 기본형카드로는 나름 괜찮은 적립카드이기 때문에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NH카드 농협카드의 올바른 뉴 해브 카드 살펴보겠습니다. 연회비 국내전용이나 마스터카드 둘다 연회비는 12,000원입니다. 마스터카드 발급받으시는게 좋습니다. 적립도 가장 많이 쓴 영역에는 3배(트리플), 2순위는 2배(더블)인데요. 해외사용처도 있어서 그렇답니다. 혜택 1) 일단 국내외 가맹점 기본 0.7% NH포인트 적립이 가능하구요. 적립한도나 전..

신한카드 Hi-Point 신한 하이포인트 카드 하이포인트 적립카드

한 때 포인트 혜자카드라 불리는 카드발급폭주사태들이 있었죠. 요 근래에는 더모아 짭모아 등 포인트 발급 효율이 매우 높은? 체리피킹용 카드가 인기를 끌다가 단종된 사건?아닌 사건들도 있었는데, 그 원조가 하이포인트, 마이신한포인트 아니었나 회상해봅니다^^ 아무튼 포인트 적립 혜택의 중심에 있었던 하이포인트형 카드가 신한 하이포인트 인데요. 이번에 알아볼 카드는 신한카드 하이포인트 Hi Point 카드입니다. 연회비 연회비가 다양한게 좀 특이합니다. 대부분의 브랜드를 다 선택할 수 있는 나름의 선택권을 지니고 있는 카드인데요. 비자나 마스터는 기본이고 URS, 유니온페이, JCB 등에 일반, 플래티넘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근데 사실 특별한 이유가 있는게 아니시라면 굳이 연회비를 더 낼 필요는 없다고 생각..

현대카드 그린 the Green Edition2 더그린 에디션2

프레스티지급 카드가 대중화 된지도 벌써 10년이 넘은 듯 합니다. 2010년대에 접어들면서 대중적인 고급형 카드가 설계되고 많이 발급되었는데요. 그때는 메스+프레스티지 = 메스티지 카드의 전성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호텔라운지나 사우나, 발렛, 공항발렛, 공항교통편, 커피숍 등 일상이나 여가에 주로 사용되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했죠. 현대카드에서도 그때 퍼플, 레드 같은 미들급 프레스티지, 프리미엄 카드가 인기를 끌었고 그보다 조금 저렴한 연회비에 젊은 층을 공략하고자 언더급 프레스티지 카드 포지셔닝 마케팅을 펼쳤는데요. 그게 그린, 레드 등급이었죠. 그 중에서도 오늘 살펴볼 카드는 첫 럭셔리 카드를 표방하는 현대카드 그린의 에디션2 입니다. 연회비 연회비는 15만원입니다. 비자나 마스터나 국내전용 모두 ..

현대카드 아멕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골드 로즈골드 아멕스골드 카드

아멕스카드는 프리미엄 카드의 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랜 역사 뿐만 아니라 컨시어지서비스나 글로벌익스클루시브 서비스 , 프리미엄 서비스 제도는 고급카드 서비스의 표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고급카드 서비스이 창시자 격이니까요. 아멕스는 롯데나 삼성에서 발급하던 카드가 많은 인기를 끌었는데요. 이에 질세라 현대카드에서 고급화 마케팅으로 발급하면서 플래티넘, 골드 등급이 인기를 끌고 있지요. 물론 가장 대표격은 블랙카드지만 블랙카드는 일반발급이 불가해서 바우처나 MR (멤버십 리워즈) 포인트로 연회비 커버가 가능한 카드들이 인기입니다. 그 중에서 미들급 프레스티지 카드로 인기를 끌고 있는 골드 및 로즈골드 카드 알아보겠습니다. American Express® Gold / Rose Gold C..

KEB 하나카드 1Q Daily+ 원큐 데일리 플러스 적립 할인 생활비 관리비 카드

여러분의 일상은 어떠신가요? 인생이란게 무거운 짐을 들고 먼 여행을 떠나는 것과 같다고 하기도 하죠. 인생에는 여러가지 희노애락이 있겠지만 묵묵히 일상을 담담하게, 그리고 매일매일을 한걸음씩 걸어나가는 것도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너무 심오한 주제인가요 ㅎㅎ :) 아무튼 일상과 매일매일에 대한 생각을 하나보니 생각이 그리 흘렀습니다. 그만큼 일상은 중요하고, 이에 생활에서도 매일매일 일상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카드가 인기를 끄는 거라 생각해요. 그래서 오늘은 1Q Daily + 매일매일 혜택이 플러스라는 하나은행의 원큐 데일리 플러스 카드를 살펴보려 합니다. 연회비 일단 연회비1만원 수준의 기본 카드 수준이구요. 전월실적이 30만원인걸보니 꾸준한 생활비나 관리비 사용을 베이스로 ..

KEB 하나카드 트래블로그 신용카드 하나 트래블로그 하나머니 적립 여행 해외 카드

코로나가 세계를 덮친지 어언 3년이 넘었습니다. 그간 많은 일이 있었는데요. 가장 큰 사건은 각 국간의 왕래가 제한되고 문을 닫아걸면서 여행이나 출장, 이동이 힘들었던거겠죠. 하지만 이제는 분위기가 많이 누그러졌고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분위기가 되었죠. 물론 예전처럼 자유로운 분위기가 다시 살아나려면 조금 더 있어야 하는 것 같긴하지만, 그래도 트래블로그와 같은 카드의 인기가 살아나는 것 보면 이제는 다시금 분위기도 계속 살아나고 있다고 봐야겠지요. 그리고 그간 달라진 변화가 있다면 각 회사가 가진 포인트나 마일리지를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조가 있었는데요. 물론 비트코인이나 다양한 현금화 포인트, 마일리지라는 제도가 없었던 건 아니지만, 고객 포인트라는 부채개념에 자산과 적립의 역할이 더해지..

네이버 현대카드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요즘 네이버 페이나 네이버 멤버십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혜택과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혜택도 있는 카드가 있습니다. 현대카드가 내놓은 대한항공에 이어 네이버 제휴카드도 꽤 꾸준한 인기가 있는데요. 요새 왠만한 쇼핑이 모두 네이버로도 가능하다보니 네이버에 사용율이 집중되어 있는 분들께는 꽤 매력 있는 카드입니다. 연회비 연회비는 1만원 기본형 카드인데요. 기본적립은 1%지만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의 경우 5% 적립이 가능해서 기본형 카드이면서도 혜택을 네이버에만 집중했기에 이 부분을 잘 공략하면 효율이 높아집니다. 혜택 1.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무료 이용권 매달 제공 2. 네이버페이 포인트 1%~5% 적립 네이버에 집중해서 사용하시는 경우 좋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플러스..

삼성 iD NOMAD 카드 삼성카드 아이디 노마드 카드

노마드시대입니다. 디지털 시대를 넘어, 재택근무나 크레에이터, 다양한 활동과 여가 생활 등이 사회의 중요한 현상으로 자리잡았는데요. 물론 전통적인 라이프스타일도 굳건하지만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이고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의 비율도 늘어가고 각광받는 시대랍니다. 이를 타겟하기위해 삼성카드에서 id nomad 카드를 출시하였는데요. 디지털컨텐츠, 해외, 항공 등은 물론 활동성 좋은 분들을 위해 오프라인 일반 가맹점, 그리고 온라인 가맹점에서도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연회비 연회비는 해외겸용 기준 49,000원입니다. 미들급 카드인데요. 적립이나 기프트가 어느정도 인지 살펴보는게 중요하겠죠? 기프트 미들급 카드임에도 기프트를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GIFT사요처가 있는데요. 여행. 항공, 골..

신한카드 Deep Dream Platinum+속 깊은 혜택을 더한!

신한 딥드림 시리즈도 이제는 완전히 자리를 잡았죠. 출시될 땐 딥드림으로 일반 할인 적립에 혜택을 집중했었는데 딥오일이나 딥드림 플래티늄 등으로 상품을 확장해서 항공할인이나 해외 캐시백 등의 혜택을 더하니 인기가 더 많아 진 것 같습니다. 역시 사용자마다 라이프스타일과 생활패턴이 다 다르고 요새는 특히나 더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상품설계가 그 수요에 맞게 나오는 것 같아요. 연회비 연회비는 기본이 30,000원입니다. 비자로 받으면 3만3천원이네요. 비자나 유니온페이로 발급 가능하구요. 전월실적이 없다는게 마음에 드는 포인트입니다. 전월실적이 없으면 기본형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래도 3만원의 연회비가 있으니 어떤 혜택이 있는지 따져보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전월실적이 없는 카드 지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