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대카드 14

현대 아멕스 플래티넘 Amex Platinum 알짜 마일리지 카드인가 1년짜리 인가

현대 아멕스 플래티넘 카드 중 가장 프리미엄 혜택을 자랑하는 아멕스 플래티넘 American Express The Platinum Card 입니다. 여행이나 출장 많이 다니시는 분들에게는 MR이라 불리는 멤버십리워즈(MR)가 친숙하실텐데요. 이걸로 주요 호텔 포인트나 항공사 마일리지 전환이 가능해 급마^^일리지가 필요하신분들에게도 오아시스같은 카드로 불리고 있습니다. 1MR이 1원의 가치를 지니고 있어, 100만원의 연회비는 스페셜 MR로 적립되는 10만 MR로 커버할수 있죠. 그리고 1천원당 최대 4.5MR 까지 적립할 수 있죠. 일반(1배, 1천원당 1.5MR), 해외 (2배, 1천원당 3MR), 골프나 면세 (3배, 1천원당 4.5MR) 등 적립율도 꽤 괜찮다고 할 수 있어요. *마일리지 전환 - ..

현대카드 M3 Boost 부스트 M포인트 페이 해외결제 주말 무료주차

현대카드의 M 시리즈는 강렬한 광고와 함께 등장하며 현대카드의 대표카드 격으로 포지셔닝했었습니다. 이후에도 M포인트와 이어지는 M시리즈로 확장되며 꾸준히 현대카드의 중심카드로 자리잡았죠. 특히 자동차와 관련한 다양한 혜택이 있었는데요. 이번 M3 Boost 는 어떻게 설계되었는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현대카드 M3 Boost 부스트 입니다. 연회비 연회비는 9만원인데요. 비자나 마스터, 국내카드 금액이 같다는 점에서 비자나 마스터로 발급받으시는 분이 많을 듯 합니다. 그리고 전월실적 50만원 허들이 있는데요. 일정량을 어느정도 써야하는 카드인데 그만큼 적립이나 적립율, 부가혜택이 어떤지가 선택을 좌우하기에 이 부분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아야 겠습니다. 적립 적립은 1) 기본적립 2) 5%적립 3) 특별적..

현대카드 레드 the Red Edition5 더레드 에디션5 프레스티지 카드

현대카드 레드는 꾸준히 인기를 끈 프레스티지 등급의 카드입니다. 현대카드의 럭셔리 시리즈는 크게 퍼플, 레드가 대표적인데요. 퍼플은 이제 프레스티지를 넘어 프리미엄으로 갔고 (사실 출시초기부터 그랬습니다.), 레드가 상대적으로 연회비도 저렴? 하고 바우처 커버 범위도 좁힐수 있다보니 꾸준히 인기를 끌게 되었죠. 에디션5까지 나온 상태이니 계속 갱신(이라고 쓰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조금씩 개악...^^) 되면서 지금도 꾸준하게 발급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현대카드 프레스티지 등급의 중추역할을 탄탄히 하고 있는 레드카드 에디션5를 알아볼게요. 연회비 연회비는 30만원입니다. 레드카드가 초기에 출시되었을때는 20만원 내외 등급의 카드였는데 조금씩 올라 이제는 30만원입니다. 혜택 및 커버사항 1) 일단 20만원..

현대카드 그린 the Green Edition2 더그린 에디션2

프레스티지급 카드가 대중화 된지도 벌써 10년이 넘은 듯 합니다. 2010년대에 접어들면서 대중적인 고급형 카드가 설계되고 많이 발급되었는데요. 그때는 메스+프레스티지 = 메스티지 카드의 전성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호텔라운지나 사우나, 발렛, 공항발렛, 공항교통편, 커피숍 등 일상이나 여가에 주로 사용되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했죠. 현대카드에서도 그때 퍼플, 레드 같은 미들급 프레스티지, 프리미엄 카드가 인기를 끌었고 그보다 조금 저렴한 연회비에 젊은 층을 공략하고자 언더급 프레스티지 카드 포지셔닝 마케팅을 펼쳤는데요. 그게 그린, 레드 등급이었죠. 그 중에서도 오늘 살펴볼 카드는 첫 럭셔리 카드를 표방하는 현대카드 그린의 에디션2 입니다. 연회비 연회비는 15만원입니다. 비자나 마스터나 국내전용 모두 ..

현대카드 아멕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골드 로즈골드 아멕스골드 카드

아멕스카드는 프리미엄 카드의 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랜 역사 뿐만 아니라 컨시어지서비스나 글로벌익스클루시브 서비스 , 프리미엄 서비스 제도는 고급카드 서비스의 표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고급카드 서비스이 창시자 격이니까요. 아멕스는 롯데나 삼성에서 발급하던 카드가 많은 인기를 끌었는데요. 이에 질세라 현대카드에서 고급화 마케팅으로 발급하면서 플래티넘, 골드 등급이 인기를 끌고 있지요. 물론 가장 대표격은 블랙카드지만 블랙카드는 일반발급이 불가해서 바우처나 MR (멤버십 리워즈) 포인트로 연회비 커버가 가능한 카드들이 인기입니다. 그 중에서 미들급 프레스티지 카드로 인기를 끌고 있는 골드 및 로즈골드 카드 알아보겠습니다. American Express® Gold / Rose Gold C..

네이버 현대카드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요즘 네이버 페이나 네이버 멤버십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혜택과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혜택도 있는 카드가 있습니다. 현대카드가 내놓은 대한항공에 이어 네이버 제휴카드도 꽤 꾸준한 인기가 있는데요. 요새 왠만한 쇼핑이 모두 네이버로도 가능하다보니 네이버에 사용율이 집중되어 있는 분들께는 꽤 매력 있는 카드입니다. 연회비 연회비는 1만원 기본형 카드인데요. 기본적립은 1%지만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의 경우 5% 적립이 가능해서 기본형 카드이면서도 혜택을 네이버에만 집중했기에 이 부분을 잘 공략하면 효율이 높아집니다. 혜택 1.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무료 이용권 매달 제공 2. 네이버페이 포인트 1%~5% 적립 네이버에 집중해서 사용하시는 경우 좋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플러스..

현대카드ZERO Edition2(포인트형) 현대 제로카드 에디션2 포인트 적립

심플이 대세입니다. 카드에도 그렇습니다. 복잡하게 이것저것 시뮬레이션 해야하는 카드는 체리피커나 꼼꼼한 사용자 분들에겐 인기있지만, 귀찮은 걸 싫어하시는 사용자들도 많으시니까요. 이번에 알아볼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2 포인트형도 깔끔합니다. 디자인도 깔끔하지만 설계도 그렇네요. 실적 한도 제한없이 모든 가맹점 1% 적립, 외식 마트 편의점은 2.5%라 끌리는 카드입니다. 연회비 이제는 1만원의 기본 연회비 없는 카드 찾기가 더 힘든 시대죠. 딱 기본카드입니다. 혜택 말 그대로 어디서 쓰거나 전월실적이나 조건없이 1%의 M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페이, 대형할인점, 편의점, 음식점, 커피, 대중교통 등에서 2.5%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 특별적립에서도 적립 횟수/한도 제한 없음, 전월 실..

현대카드 Z Family 현대 지 패밀리 가족형 구간반복 할인카드

이제 디자인하면 현대카드인 것 같습니다. UX나 UI등을 카드에 적용해서 화려하고 친숙한 디자인 뿐만아니라 고급스럽고 심플한 디자인까지 디자인과 오브제를 카드에 적용한 국내 대표 카드사라 해도 손실없겠죠. 사실 현대카드는 다른 경쟁사에 비해 할인율이나 적립율이 높지는 않은 편이었는데 이 카드는 야심차게 구간반복 할인을 외치며 출시되었으니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연회비 연회비는 10,000원이라 기본형 카드인데요. 영역별 할인을 내세우고 있는데 얼마나 다양한 분야에서 할인 적용이 가능한지 알아 보겠습니다~ 할인혜택 일단 할인은 온라인쇼핑, 대형마트, 배달앱, 주유, 생활요금 이렇게 5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카테고리별로 전월실적 40만원 이상시 월5천원(주유는 1만원), 80만원 이상시 월8천원..

현대카드 M BOOST 엠부스트 적립 카드 추천

현재 캐시백 및 연회비 캐시백 행사 중인 현대카드 M Boost 카드입니다. 엠부스트하면 현대카드 적립이죠~ *현재 신규회원, 연회비 캐시백 이벤트 중입니다. 여기(현대카드) 또는 요기(제휴사이트)를 눌러서 한 번 확인해보세요~ 연회비 연회비는 3만원인데요. 적립율이 조금 높다보니 기본형+알파형 연회비를 가지고 있네요 디자인 일단 디자인의 현대카드 답게 현대카드 M Boost 디자인은 화려합니다. 다양한 개성을 뽐낼 수 있는 카드 선태ㅐㄱ이 가능하니 잘 살펴보시고 선택해보시는 것도 은근 재미 있을 것 같아요. 적립 살펴보기 일단 치밀한? 현대카드 답게 업종별 0.5~3%의 M 포인트 및 적립 구간별 적립비율 조정을 통해서 뭔가 좀 머리를 굴려야 하는 카드임은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용량이 100..

현대카드 할인카드 ZERO Edition2 할인형 현대 제로카드 에디션2 할인

할인카드가 대세인것 같습니다. 현대카드도 포인트, 할인 부분에는 일가견이 있었는데 사실 할인율이나 포인트 적립율에서 비교우위에서 약간 밀리는 감이 있었죠. 대신 현대카드 특유의 마케팅과 애플페이같은 여러 마케팅 수단이 있어서 현대카드는 꾸준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레드카드나 퍼플, 블랙과 같은 프레스티지 및 프리미엄급 카드와 기본형 카드인 제로, 카멜레온 모바일 등을 출시하면서 미들급 보다는 극과극 마케팅으로 많은 재미를 봤던 것 같아요. 이번에 소개해 드릴 카드는 그 한쪽 끝단에서 가장 인기를 끌었던 카드가 현대카드 제로였죠. 하얀 바탕에 깔끔한 디자인으로 인기를 많이 끌었었는데요.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2 할인형도 그 명맥과 계보를 이어나가는 카드로 유명하죠. 연회비 및 적립율 연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