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용카드 - 할인 34

BC 바로 클리어 플러스 BC 바로카드 할인 식사 배달 온라인쇼핑 스트리밍 휴대폰 요금 할인카드

바야흐로 반값, 반반의 시대입니다. 반값 할인 반 값 등록금 등등 카드도 마케팅의 영역이자 소비의 꽃이다 보니 이러한 부분이 반영될 수 밖에 없는 것 같은데요. 이번에 살펴볼 BC 바로 클리어 플러스 카드가 바로 그런걸 염두해 두고 설계된 카드가 아닐까 싶어요. 할인액, 할인한도 구간, 연회비, 전월 실적이 모두 30만원 기준인 시대에 15만원을 기준으로 해서 염두해 두다보니 반반 할인이라는 별명이 생길만 한 카드랍니다. 연회비 위에서 말씀드린 것 처럼 연회비가 기본카드의 절반 수준인 5천원입니다. 사실 연회비 캐쉬백은 크게 유입동기나 메리트는 없지만, 그래도 사용액이 많지 않아도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카드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혜택 및 할인한도 요약 혜택을 요약하면 점심식사, 배달앱..

KB 국민카드 다담카드 할인 카드

다 담았다는 뜻의 KB국민카드 다담카드 입니다.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의 청구할인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카드인데요. 거기다 나름 쏠솔한 포인트리 적립도 되니 나쁘지 않은 카드에요. 예전에 인기를 끈 훈민정음 시리즈의 후속버전이기도 합니다. 연회비 유니온페이는 15,000원이지만 해외사용이 되는 비자나 마스터는 20,000원입니다. 그냥 2만원짜리 카드라고 생각하고 고려하고 따져보시는게 편하답니다. 혜택 일단 혜택은 다양합니다~ 다담이라는 이름 답게 다 담으려고 노력은 했습니다. 하지만 당연히 할인 구간과 선택팩? 이라는 제도로 다 담았지만 무조건 다 퍼주지는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죠. ㅎㅎ 그래서 잘 살펴보고 따져보는 습관이 필요하겠죠. 좀 복잡해 보이긴 한데 한마디로 기본 할인 서비스는 그대로 이용하..

알뜰교통 신한카드 대중교통 할인 알뜰교통카드

요새 가장 핫한 카드를 꼽으라면 (2023.8 기준) 저는 이 카드를 꼽고싶습니다. 물론 전체 카드 차트에서 1~2위를 다투는 건 아니지만, 은행에 가보면 연세가 있으신 분들부터 젊으신 분들까지 이 카드를 언급하시더라구요. 바로 알뜰교통카드입니다. 물론 꼭 이번에 알아볼 신한카드가 아니더라도^^. 많은 선택권이 있어요. "알뜰교통카드" 라는 키워드가 핫해서 그런것도 있겠지만요. 국민, 하나, 등등 다른 은행에서 발급하고 있는 알뜰교통카드도 있지만, 이번에는 먼저 알뜰교통 신한카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연회비 일단 연회비는 기본형 카드긴 하지만, 할인 혜택이 추가되어 그런지 약간 더 비싼 1.5만원~1.2만원 수준입니다. 혜택 살펴보기 저는 할인이나 적립혜택을 볼때 연회비 대비 월 할인 최대한도 금액을..

하나카드 One The Card Free 원더카드 프리 실적 조건 없이 골고루 받는 혜택 카드 추천

하나은행 하나카드의 원더카드 One The Card Free 입니다. 할인카드들의 까다로운 실적 혜택 때문에 사용자가 이탈하는 경우가 생기니 요즘은 실적조건 없는 카드가 인기인가 봅니다. 이런 부분들을 잘 캐치해서 카드사에서는 계속 새로운 카드 상품을 설계하고 있구요. 연회비 연회비는 12,000원이라 기본형 카드에 속하구요. 연회비 대비 얼마나 할인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내게 효용이 있는 카드 인지가 관건이겠습니다. 한 번 자세히 알아 보자구요. 할인 기본적으로 전 가맹점에서 0.7% 할인율을 보여줍니다. 사실 0.7% 할인율은 그리 높은건 아니죠. 0.8%나 1.2%까지 무조건 할인이 가능한 카드가 설계 출시되어 인기를 끌고 있으니까요. 사실 이카드의 핵심은 대중교통과 쿠팡, 카트, 베이커..

NH 농협카드 채움 올바른 플렉스 FLEX 카드 할인 혜택 카드

이번에 가져온 카드는 농협 NH 카드 올바른 플렉스 FLEX 카드입니다. 농협카드는 선호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한 번도 발급 안받아 본 분도 많이 계시죠. 그만큼 제가 볼 땐 호불호가 좀 갈리는 카드라 할 수 있습니다. 무언가 알뜰한 혜택과 바름을 강조하는 듯 하지만 그 속살은 그렇지 않다고 보시는? ㅎㅎ 분들도 꽤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직접 뭐든 보고 경험해봐야 맞는지 안 맞는지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NH 농협카드 채움 올바른 플렉스 FLEX 카드 살펴보겠습니다. 연회비 연회비는 6,000원에 제휴 4,000원으로 국내전용 카드는 10,000원 비자는 제휴 6,000원으로 12,000원입니다. 한마디로 기본형 카드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연회비 면제도 꽤 있었는데 ..

롯데카드 할인 카드 추천 LOCA LIKIT 1.2 로카

경쟁이 가속화 되는 시대입니다. 카드 분야에서도 그런데요. 특히 할인이나 적립은 그 할인율, 적립율을 조금씩 서로 간 올려가면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려고 안간힘을 쓰는 듯 합니다. 특히 후발주자들이 조금 더 파격적인 혜택과 행보를 보이면서 마케팅 여력을 쏟아부어 시장을 조금이라도 더 장악하려고 노력하는데요. 이번에 소개해 드릴 롯데 LOCA LIKIT 이 바로 그런 카드가 아닐까 싶어요. 롯데카드의 마케팅과 프로모션의 노력이 이 한 장에 담겨 있는 느낌입니다. 연회비 연회비는 10,000원. 젊은 사용자 부터 합리적인 생활인들을 모두 잡겠다는 포부가 있는 것 같아요. 기본형 카드로 많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카드라는 점을 강조하듯. 1만원의 연회비도 심플합니다. 할인혜택 Simple is the best...

우리카드 생활형 할인 카드 추천 DA@카드의정석

0.1%, 1%가 큰 차이를 만든다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카드와 BC카드가 타 카드에 비해 인기가 많은 이유를 생각해 봤습니다. BC카드에서 발급하는 우리카드는 보통 경쟁사(신한, 국민, 현대 등) 보다 할인에 더 집중되어 있고 평균적인 기본 할인이나 적립율이 조금 더 높습니다. 다른 카드들이 0.7%의 기본 적립율을 보이면, 우리 BC의 경우에는 0.8% 죠. 최대적립율이나 최고 적립율등이 있지만 가맹점에 구애를 덜 받고 자유롭게 사용하면서도 더 높은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카드로가 있기에 그게 우리카드 BC카드를 많이들 사용하시는 이유라 생각합니다. 이에 오늘 소개시켜드릴 카드는 우리카드 중 생활 할인 카드 추천 DA@ 카드의 정석입니다. 이 카드는 말 그대로 다 할인 되는 카드랍니다. 연회비 국내 기..

신한카드 Deep Oil 딥오일 카드 주유 주차 정비 편의점 커피 택시 속 깊은 주유 혜택

바야흐로 고유가 시대, 주차비도 비싼시대입니다. 대중교통이 잘 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영업이나 업무 또는 출퇴근 인해 거의 매일 차량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분들도 많으시죠. 그래서 교통, 주유, 주차 등에 대한 할인, 적립카드 수요는 늘 꾸준했었죠. 특히 신한카드 중에서는 RPM이나 RPM+ 또는 Deep Oil 딥오일 등이 그런 계보를 잇는 카드라 할 수 있는데요.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연회비 연회비는 무난한 편입니다. 일반적인 기본카드와 비슷하게 마스터 1만3천원, 국내 1만원 정도면 합리적인 수준이라 할 수 있어요. 물론 할인율이나 할인범위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 월할인 한도 고려하여 꾸준히 사용한다면 한두달이면 모두 상쇄가능한 수준이요. 혜택살펴보기 1) 일단은 4개 정유사 중 1개 정유사를..

삼성카드 taptap DIGITAL 탭탭 디지털 온라인 및 디지털 생활 할인 추천 카드

여러분의 생활패턴은 어떠신가요? 요즘은 디지털 사회입니다. 굳이 오프라인으로 장을 보러가지도, 물건을 사러가지도 않고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주문하는 경우도 많죠. 그리고 TV가 없는 1인가구도 많죠. TV가 있어도 공중파 보다는 OTT 서비스가 워낙 다양하다보니 인터넷으로 영화나 예능을 시청하고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왓챠, 티빙, 멜론, FLO 같은 서비스를 통해 영화나 예능, 다큐는 물론 음악감상도 하는 시대죠. 사실 저 뿐만아니라 저희 어머니세대도 쿠팡이나 온라인마트쇼핑을 이용하시고 넷플릭스나 유튜브등을 즐겨 보시는 그런 시대입니다. 그래서 오늘 소개해 드릴 카드는 이런 온라인, 디지털형 라이프스타일에 딱 맞춰진 할인카드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삼성카드 taptap Digital 탭탭디지털 온라인 ..

현대카드 할인카드 ZERO Edition2 할인형 현대 제로카드 에디션2 할인

할인카드가 대세인것 같습니다. 현대카드도 포인트, 할인 부분에는 일가견이 있었는데 사실 할인율이나 포인트 적립율에서 비교우위에서 약간 밀리는 감이 있었죠. 대신 현대카드 특유의 마케팅과 애플페이같은 여러 마케팅 수단이 있어서 현대카드는 꾸준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레드카드나 퍼플, 블랙과 같은 프레스티지 및 프리미엄급 카드와 기본형 카드인 제로, 카멜레온 모바일 등을 출시하면서 미들급 보다는 극과극 마케팅으로 많은 재미를 봤던 것 같아요. 이번에 소개해 드릴 카드는 그 한쪽 끝단에서 가장 인기를 끌었던 카드가 현대카드 제로였죠. 하얀 바탕에 깔끔한 디자인으로 인기를 많이 끌었었는데요.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2 할인형도 그 명맥과 계보를 이어나가는 카드로 유명하죠. 연회비 및 적립율 연회..

반응형